본문 바로가기

학교공부/AWS

데이터 스토리지 개념

728x90

데이터 스토리지

- 저장 매체 안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 , 또는 자료 저장소

 

클라우드 스토리지

- 네트워크 기반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ex) 드롭박스,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클라우드 등

 

 

파일 스토리지

- 파일 수준 또는 파일 기반 스토리지, 논리적 계층 스토리지

- 파일과 폴더의 계층구조로 이루어졌다.

- 익숙한 방법이지만 데이터가 많아지면 그만큼 찾기도 힘들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 스토리지 연결 방식 : NAS, DAS

 

ex) 주차타워

주차타워도 차가 많아지면 그만큼 차 찾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블록 스토리지

블록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는 방식

블록은 파일보다도 작은 단위로써 조각으로 나누어 저장한다.

정형화된 데이터 처리하는 데 사용

경로가 다양해 데이터를 신속하게 검색 가능

# 스토리지 연결 방식 : SAN , DAS

 

ex) 주차장

 

 

 

 

오브젝트 스토리지

오브젝트라는 개별 데이터 단위로 데이터 저장하는 유형(모든 데이터)파일 스토리지처럼 메타데이터가 있지만 사용자가 추가가 가능하다.폭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좋다.폄면구조로 데이터 접근이 빠르고 확장성이 좋다.서버의 블록이나 폴더에 파일을 보관하는 대신 단일 Repository에 보관한다.

 

수정이 많이 일어나지 않는 이미지나 영상에 적합하다.

 

 

ex) 대리주차

 

 

DAS

  • 서버나 클라이언트 환경에서 부족한 저장공간을 가장 쉽게 확보하는 방법
  • 서버와 전용 케이블로 연결한 외장형 저장장치(USB)
  • 파일 시스템 공유 기술이 없기 때문에 파일 공유 불가능

 

NAS

  • 스토리지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업무 문서나 자료들을 동시에 공유하고 수정하는 일이 증가하면서 생김
  • 서버와 저장장치가 이더넷 등의 LAN 방식의 네트워크 연결된 방식
  • 주요 스토리지 프로토콜 : NFS, SMB/CIFS, FTP, HTTP

 

SAN

  • 여러 스토리지를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고 이 네트워크에 서버 연결해 스토리지에 접속하는 방식
  • 주요 스토리지 프로토콜 : ISCSI, Fiber Channel

728x90

'학교공부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DS  (0) 2022.10.22
데이터베이스 기본개념  (0) 2022.10.22
AWS 소개  (0) 2022.09.27
가상서비 및 서버 가상화 기술  (0) 2022.09.27
서버리스 컴퓨팅  (0) 2022.09.27